제주 4·3 그린 김향기, 아역에서 엄마로…"감정 호소도 강요도 NO" (한란)[종합]
작성자 정보
- 픽인사이드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0 조회
- 목록
본문
12일 서울 용산구 CGV아이파크몰에서 영화 '한란'(감독 하명미) 언론시사회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하명미 감독을 비롯해 배우 김향기, 김민채가 참석했다
'한란'은 1948년 제주를 배경으로, 살아남기 위해 산과 바다를 건넌 모녀의 강인한 생존 여정을 담은 영화다.
김향기는 제주 해녀이자 딸 해생이를 위해 위험한 상황에서도 산에서 내려오는 엄마 아진을 연기했으며, 김민채는 딸 해생을 맡았다.
하명미 감독은 제주 4.3을 배경으로 영화를 만든 이유를 밝혔다. 하 감독은 "기획한지 오래됐다. 2013년에 제주도로 이주해서 10년이 넘게 있었다. 4.3은 매년 돌아오고 매년 추모식에 참여하며 슬퍼만 하는 게 미안하고 마음이 아프더라"라고 운을 뗐다.
이어 "제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인 비극에 대해 공감하는 방법이 뭘까 생각했다. 그러다 4.3에 대해 자세히 알아가고 이해하는 과정으로 슬픔에 공감하는 게 저의 방법이라고 생각해서 영화를 만들게 됐다"고 덧붙였다.
하 감독은 "김향기를 만난 건 행운"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초고가 나오자마자 김향기에게 책을 주고 싶었다. 준비를 해서 시나리오가 나오자마자 김향기에게 건넸다. 48년도에 제주 4.3.사건 겪을 당시 26살 고아진과 2025년 현시대를 살고 있는 동시대 청년이 만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고 그 연결을 가장 잘 이어줄 다리가 누굴까 생각하니 김향기만 생각났다"고 밝혔다.
아역배우 김민채 또한 뛰어난 연기력으로 오디션을 토해 '한란'에 합류했다. 허 감독은 "동굴에서 어머니를 부르며 우는 장면이 중요했는데, 김민채가 그 장면을 위해 감정을 집에서부터 잡고 왔다"며 운명같은 첫 만남을 회상했다.
아역배우 출신인 김향기는 '한란'을 통해 엄마가 됐다. 처음부터 끝까지 제주어를 완벽히 구사하며 큰 도전을 했던 김향기는"제주어를 구사하는 것에 대해 해내야겠다는 마음이 있었다. 감독님께 미리 연습을 할 수 있게 준비해달라고 부탁드렸고, 제주어 감수자분과 1대1 과외처럼 연습했다"고 밝혔다.
또한 모녀 호흡을 이끌어야했던 김향기는 "민채가 처음에 수줍어하는 것 같고 말이 없어서 어떻게 친해져야 할지, 어떻게 해야 편해질지 생각했었다"며 "개인적인 이야기도 하고 취향을 물어보다보니 친해졌다. 현장에서 컷하면 민채도 편해졌는지 먼저 말을 걸더라. 즐겁게 촬영하면서 언니 동생처럼 지냈다"고 이야기해 '엄마' 김향기에 대한 기대를 모은다.
김향기는 제주 4.3사건에 대해 촬영 전 공부를 하고, 4.3 관련 유적지 투어를 다니기도 했다고. 제주 4.3에 대해 다룬 영화를 이끈 김향기는 "저희 '한란'은 감정에 호소하는 영화도 아니고, 영화 사건을 통해 알아 달라고 강요하는 영화도 아니다. 있는 그대로 봐 달라"며 작품에 대한 진심을 전했다.
한편 '한란'은 26일 개봉한다.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